방구석 코딩쟁이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방구석 코딩쟁이

  • 분류 전체보기 (85)
    • 프로그래밍 언어 (1)
      • Typescript (1)
      • Javascript (0)
    • 프론트엔드 개발 (30)
      • React (10)
      • Next.js (1)
      • 개발환경 (4)
    • 백엔드 개발 (5)
      • Node.js&Nest.js (5)
    • 프로그래밍 방법론 (12)
      • 함수형 프로그래밍 (5)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0)
      • 테스트코드 (2)
      • 디자인패턴 (1)
      • 도메인 주도 설계 (4)
      • 아키텍처 (0)
    • 개발환경 (3)
      • Docker (2)
      • Git (1)
      • 클라우드 (0)
    • CS지식 (14)
      • 알고리즘 (0)
      • 자료구조 (1)
      • 데이터베이스 (0)
      • 네트워크 (11)
      • 운영체제 (0)
      • 코딩테스트 (2)
    • 프로젝트들 (5)
      • 졸업작품 (3)
    • Life (14)
      • 계획 (0)
      • 회고 (12)
      • 독후감 (1)
    • 수학 (0)
      • 통계학 (0)
      • 선형대수학 (0)
  • 홈
[도메인 주도 설계 핵심] 6장 요약

[도메인 주도 설계 핵심] 6장 요약

도메인 이벤트는 바운디드 컨텍스트 내의 비즈니스 관점에서 중요한 사항들에 대한 기록들이다. 즉, 도메인 이벤트가 전략적 설계를 위해 매우 중요한 도구이다. 비즈니스 도메인은 인과관계가 있는 오퍼레이션(한 오퍼레이션이 다른 것의 원인이 되는)이 분산된 시스템의 동일한 요청 내에 존재하는 모든 의존적인 노드들에게 보여지는 경우, 의존 관계 일관성을 제공한다. 인과 관계에 있는 오퍼레이션은 반드시 특정한 요청으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에 그 특정한 요청이 발생되지 않으면 인과관계에 있는 오퍼레이션은 발생할 수 없다. 즉, 특정한 오퍼레이션이 다른 애그리게잇에서 명확하게 발생하기 전에는 한 애그리게잇이 생성되거나 수정될 수 없다는 뜻이다. 전술적 설계 노력을 통해 도메인 이벤트가 도메인 모델에 구체화되고, 도메인 ..

  • format_list_bulleted 프로그래밍 방법론/도메인 주도 설계
  • · 2024. 9. 19.
  • textsms
[HTTP 완벽가이드] 02. URL과 리소스

[HTTP 완벽가이드] 02. URL과 리소스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은 인터넷 리소스를 가리키는 표준이름이다.  [인터넷의 리소스 탐색하기]URL은 브라우저가 정보를 찾는데 필요한 리소스의 위치를 가리키며, URL을 이용해 사람과 애플리케이션이 인터넷 상의 수십억 개의 리소스를 찾고 사용하며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URL을 통해 사람이 HTTP 및 다른 프로토콜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URI는 URL, URN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URN: 리소스가 어디에 존재하든 이름만으로 리소스를 식별할 수 있다.URL: 리소스가 어디에 있는지 설명해서 리소스를 식별한다. URL을 구성하는 3가지 요소를 살펴보자스킴: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 예시) http서버의 위치: 리소스의 호스팅 위치예시) www.joes-hardw..

  • format_list_bulleted CS지식/네트워크
  • · 2024. 9. 18.
  • textsms
"JWT"란 무엇이고 왜 사용하는 걸까? (쿠키, 세션과의 차이점)

"JWT"란 무엇이고 왜 사용하는 걸까? (쿠키, 세션과의 차이점)

서버가 클라이언트 인증을 확인하는 방식에는 쿠키, 세션, 토큰을 사용한다.그렇다면 왜 이러한 인증이 필요한 걸까? 이는 HTTP의 Stateless(무상태성) 때문이다. HTTP의 Stateless한 특성인터넷의 초기 설계목적과 웹의 특성에 맞게 확장성, 단순성, 성능에 중점을 두고 HTTP를 Stateless하게 만들었습니다.무상태 프로토콜로 설계된 HTTP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모든 요청이 독립적이며, 서버가 이전 요청의 상태를 기억하지 않도록 되어 있습니다. 확장성과 성능 향상서버에 부담이 적음: HTTP가 Stateless이기 때문에 서버는 각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 즉, 서버는 이전 요청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거나 저장할 필요가 없으므로, 클라이언트 수가 증가해도 서버의 부하..

  • format_list_bulleted CS지식/네트워크
  • · 2024. 9. 17.
  • textsms
[HTTP 완벽가이드] 01. HTTP 개관

[HTTP 완벽가이드] 01. HTTP 개관

[웹 클라이언트와 서버]웹 서버는 인터넷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HTTP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데이터를 제공한다.클라이언트는 서버에게 HTTP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요청된 데이터를 HTTP 응답으로 돌려준다.   [리소스]웹 서버는 웹 리소스를 관리하고 제공한다. 웹 리소스는 웹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모든 것을 말한다.리소스는 정적일 수 있지만 동적일 수도 있다.  1) 미디어 타입인터넷은 수천가지 데이터 타입을 다루므로, 웹서버는 모든 HTTP 객체 데이터에 MIME 타입이라는 데이터 포맷 라벨을 붙인다.웹 브라우저는 서버로부터 객체를 응답받을 때, 다룰 수 있는 객체인지 MIME 타입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타입은 사선(/)..

  • format_list_bulleted CS지식/네트워크
  • · 2024. 9. 17.
  • textsms
[도메인 주도 설계 핵심] 5장 요약

[도메인 주도 설계 핵심] 5장 요약

애그리게잇과 전술적 설계여기 2개의 바운디드 컨텍스트가 존재한다. 왼쪽은 애자일 프로젝트 관리 컨텍스트라는 이름의 핵심 도메인이고, 오른쪽은 컨텍스트 매핑 통합 기반의 협업 도구를 제공하는 지원 서브도메인이다. 바운디드 컨텍스트 안에 자리잡은 개념들이 바로 모델 안에 존재하는 애그리게잇이다.왜 필요할까?두 바운디드 컨텍스트 안에 동그라미 쳐진 개념들 각각은 애그리게잇이다. 동그라미를 치지 않은 개념인 Discussion은 값 객체(Value Object)로 모델링한 것이다. 엔티티란 무엇일까?엔티티는 독립적인 것이며, 각 엔티티는 같은 형태를 띠거나 다른 형태의 엔티티들과의 특성을 구별할 수 있는 고유한 식별성을 갖습니다.엔티티는 변할 수 있으며, 변하지 않을수도 있다. 값 객체는 무엇인가?값 객체는 불..

  • format_list_bulleted 프로그래밍 방법론/도메인 주도 설계
  • · 2024. 9. 9.
  • textsms
[도메인 주도 설계 핵심] 4장 요약

[도메인 주도 설계 핵심] 4장 요약

컨텍스트 매핑과 전략적 설계DDD 프로젝트에는 핵심 도메인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와 관련된 여러 개의 바운디드 컨텍스트가 있다.핵심 도메인인 애자일 프로젝트 관리 컨텍스트에 맞지 않는 다른 개념들은 전부 다른 바운디드 컨텍스트 중 하나로 옮겨서 관리한다. 이때, 애자일 프로젝트 관리 핵심 도메인을 다른 바운디드 컨텍스트와 통합해야 하는데, DDD에서는 이런 통합을 컨텍스트 매핑이라고 한다. 이전의 컨텍스트 맵에서 Discussion이 2개의 서로 다른 바운디드 컨텍스트 내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애자일 프로젝트 관리 컨텍스트가 Discussion의 소비 주체라는 점과 협업 컨텍스트가 Discussion의 근원이라는 것도 기억해야 한다.두 바운디드 컨텍스트 안에 각각의 보편언어가 있는 것을 생각해..

  • format_list_bulleted 프로그래밍 방법론/도메인 주도 설계
  • · 2024. 9. 8.
  • textsms
  • navigate_before
  • 1
  • ···
  • 3
  • 4
  • 5
  • 6
  • 7
  • 8
  • 9
  • ···
  • 15
  • navigate_next
공지사항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85)
    • 프로그래밍 언어 (1)
      • Typescript (1)
      • Javascript (0)
    • 프론트엔드 개발 (30)
      • React (10)
      • Next.js (1)
      • 개발환경 (4)
    • 백엔드 개발 (5)
      • Node.js&Nest.js (5)
    • 프로그래밍 방법론 (12)
      • 함수형 프로그래밍 (5)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0)
      • 테스트코드 (2)
      • 디자인패턴 (1)
      • 도메인 주도 설계 (4)
      • 아키텍처 (0)
    • 개발환경 (3)
      • Docker (2)
      • Git (1)
      • 클라우드 (0)
    • CS지식 (14)
      • 알고리즘 (0)
      • 자료구조 (1)
      • 데이터베이스 (0)
      • 네트워크 (11)
      • 운영체제 (0)
      • 코딩테스트 (2)
    • 프로젝트들 (5)
      • 졸업작품 (3)
    • Life (14)
      • 계획 (0)
      • 회고 (12)
      • 독후감 (1)
    • 수학 (0)
      • 통계학 (0)
      • 선형대수학 (0)
최근 글
인기 글
최근 댓글
태그
  • #React
  • #HTTP 완벽가이드
  • #항해99
  • #마이크로 프론트엔드
  • #ci/cd
  • #MFA
  • #항해플러스
  • #테스트코드
  • #항해
  • #http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