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새 회사 적응하느라 블로그 글을 쓰지 못했다. 앞으로는 배운 것들을 계속 글로 남겨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회사에서 들어가며 느낀 점들이 많이 있었다. 혼자 개발할 때는 신경쓰지 않아도 될 것들을 신경써야 한다는 점과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동료 분들이 적극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모습들을 보며 배울 수 있었다. 최근에는 동적인 Webp를 정적인 Webp로 표현해야하는 요구사항이 존재했었다.이 과정에서 Blob 데이터의 메모리 관리 문제로 인해 고민을 한 결과 웹워커를 사용하여 해결했는데, 이 과정에서 배운 점들을 남기고자 한다. [요구사항]사용자는 동적인 Webp와 정적인 Webp 둘 다 저장 가능하다. 특정 영역에는 동적인 Webp를 정적인 Webp로 표현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web..
Zustand는 크게 3 가지로 분석해볼 수 있다. 1. state 관리를 위한 vaniila.ts와 react.ts2. mutate를 위한 middleware3. 최적화를 위한 shallow 이번 섹션에서는 1번인 상태 관리 코드를 우선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상태 관리 코드는 2가지 파일에 나눠서 관리 중이다. 첫 번째는 vanilla.ts 파일이고, 두 번째는 react.ts 파일이다.react.ts 코드는 JS로 관리하는 상태관리 코드를 `useSyncExternalStore`라는 훅을 통해 리액트의 고유 상태로 넣어주는 코드이다. 때문에, vanilla.ts 파일을 자세히 살펴보면 react.ts 파일을 해석하는 데 오래 걸리지 않는다. `vanilla.ts`이 파일을 살펴보면 크게 2가지 함수..
1. 초기 세팅하기 먼저 vite를 이용해서 vanilla TS 파일을 만들어보자. 다음 명령어를 통해 Vanilla + TS 프로젝트의 초기 세팅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npm create vite@latest . 그리고 three.js 관련 의존성을 설치해주자. npm i three --save TypeScript를 쓸 것이고, Three.js에서는 아직 별도의 d.ts 파일을 제공해주지 않기 때문에 @types/three를 설치해주도록 하자npm i --save-dev @types/three 이렇게 되면 초기 설정은 다 되었다. 2. 코드 작성이제 코드를 작성해보도록 하자.먼저 필요한 속성들과 생성자들을 작성해보도록 하자.class App { private renderer: THREE.WebGLR..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