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작품 프로젝트 배포를 하고, 테스트를 진행 중인 상황이었습니다.회원가입하고, 로그인하는 등의 테스트를 진행했었죠. 그런데, EC2에서 실행 중인 MongoDB가 수시간마다 초기화되는 웃지 못할 상황이 발생했었습니다. 처음에는 제가 MongoDB의 설정을 초기화하도록 잘못 설정한 것인가 싶었습니다. MongoDB를 확인해보니, 외국에 사는 괴도가 제 MongoDB의 데이터를 훔친 후에 당당히 비트코인을 요구한 것입니다...! 다행히 아직 제가 만든 서비스는 제 데이터만 들어있었고, 서비스에서 개인 정보들은 요구하지 않은 상황이므로 개인 정보가 털리진 않았던 상황이었습니다. 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문제 상황을 확인해봤습니다. 1. 계정을 너무 쉽게 해놓았다.이 부분은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왜냐하면 제..
인스턴스 만들기✅ AMI : Ubuntu Server 24.04 LTS(HVM), SSD Volume Type 선택✅ 아키텍처 : 64비트(x86)✅ 인스턴스 유형 : t2.micro (다른 유형을 선택하면 과금발생가능)✅ 키 페어 : RSA 유형, .pem파일로 생성 EC2인스턴스에 접근하기 위한 보안키 키페어를 생성하지 않으면 인스턴스에 암호가 없으므로 안전하게 접속하기 위해 키페어를 생성 그리고 이후에 ssh를 사용하여 EC2인스턴스에 접근할 때 설정한 키페어를 사용하여 접속✅ 보안그룹(인바운드) : SSH유형, 22포트, 0.0.0.0 이후에 로컬에서 SSH로 접속할 것이므로 SSH의 22번 포트를 열기 EC2 접속하고 MongoDB 설치하기wg..
사실 이전에 http으로만 돌아가도록 배포작업은 끝내두었었으나, 클라우드 서비스를 공부할 겸 좀 더 딥하고 실무와 유사하게 배포해보는 연습을 하고 싶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3가지 레포지토리 ()로 구성된 프로젝트를 하나의 레포지토리로 모아서 관리하여 배포하도록 하는 여정을 떠나보려고 합니다.일단 오늘은 AWS IAM, AWS ECR 서비스를 통해 배포 시에 Docker 이미지를 ECR에 저장하는 것 까지 구현했습니다. IAM 설정하기먼저 IAM 계정을 생성하였습니다.저는 사용자 생성 버튼을 클릭하여 study-log-manager를 만들어 주고, 해당 사용자 이름을 클릭하여 추가적인 설정을 진행했습니다. 일단 저는 최종적으로 EC2에 배포를 할 예정이므로 AmazonEC2ContainerRegistry..
카카오테크 부트캠프에서 풀스택 개발자 포지션으로 여행 어시스턴트 플랫폼을 개발 중에 고민했던 문제 중 하나인 항공권 API의 부재 문제를 해결한 기록입니다. 저희 팀이 만들고 있는 플랫폼명은 GOAT(Go And Travel)이며, 키워드 기반으로 사용자의 여행지를 추천해주고, 항공권과 호텔을 추천해주는 서비스입니다. 키워드 기반으로 사용자의 여행지를 추천해주는 것은 AI 팀에서 작업을 해주고 있었고 저는 AI가 추천해준 국가, 도시, 공항을 기반으로 항공권을 보여주는 서비스를 구현해야 했습니다. 무료로 사용가능한 항공권 API가 존재하지 않았기에, 저는 다양한 방법들을 시도해보려고 했습니다.먼저, 사용자의 요청을 기반으로 Puppeteer로 크롤링을 해주는 방법이었으나 매우 비효율적이라고 판단했습니다...
마이크로서비스에 대해서 말로만 들어봤지 직접 구축해본 적이 없었기에, 이를 구현해보고자 했습니다.블로그 등의 레퍼런스보다 책을 읽으며 구현하는 것이 더 자세히 배울 수 있을거라 판단하여 thebook의 'Node.js 마이크로서비스 코딩 공작소'라는 책을 읽으며 공부 중입니다. node.js의 http 모듈을 사용하여 Row level에서부터 구현하도록 되어있으며, 책에서는 MariaDB를 사용하였으나 저는 PostgreSQL을 사용하여 구현하였습니다. 책에서 만들 프로젝트는 간단한 상품구매 서비스이며 아키텍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용자에게 요청을 받아 회원 관리와 상품 관리, 구매 관리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서비스이며,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에서 이 3가지를 모두 구현하는 모놀리스 구조부터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